티스토리 뷰

아마존은 지난 4년간 주당순이익 예상값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수익 데이타를 통해 아마존이 잘돌아가고 있으며 매년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아마존은 지금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습니다.

 

주당순이익: $17.85

주가에 비해 주당순이익이 매우 낮으며, 이로 인해 주가수익률은 매우 높게 나타납니다.

 

주가수익률: 98.1 

주주들에게 돌아가는 실제 이익은 매우 적음을 말해줍니다.

이는 아마존과 같은 IT회사에서 보여지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계속해서 연구 개발에 자금을 확대하고 재투자하기 때문입니다.

아마존은 현재 자동화와 인공지능 분야에 활발히 연구중입니다.

여기에 많이 투자하기 때문에 주주들에게 돌아가는 몫은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중요한 추가정보가 있습니다.

아마존이 많이 투자하고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 회사가 앞으로도 계속 발전하리라 믿고, 이 믿음은 주가를 더 올리게 합니다. 
결국, 지난 4년간 아마존의 주가는 평균 40% 이상 올랐습니다.

 

주가순자산비율: 19.88 

20에 가까운 수치로 매우 높습니다.

이것은 투자자들이 장부가격에 의한 주주 소유분 기준, 20배 더 비싸게 주식을 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추가 설명: 시장가치를 장부가치보다 높게 평가한다는 의미)

 

자기자본이익률: 26.7% 

아마존의 자본수익률은 높은 편입니다. 

S&P 500의 다른 탑 기술회사들과 비교해 보면, 

Facebook ROE: 25% 
Microsoft ROE: 23.1% 
Google ROE: 11.6% 
PayPal ROE: 13.8% 

아마존은 위에 언급한 4개 회사에 비해 이익창출 능력이 좋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Facebook, Microsoft, Google and PayPal이 유능하지 못하단 말은 아닙니다.

이익창출 능력이 좋긴 하지만 아마존에는 못 미친다는 것을 말합니다.

참고로, 애플은 48.7%입니다.

 

베타 (시장 민감도)1.63 

아마존 주식은 벤치마크와 매우 관련이 깊은데, 베타값이 이를 증명해줍니다.

베타 값이 높기로는 S&P 500 의 탑 텐중 하나입니다.

1.63이란 수치는 주식의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만, 자금을 동적으로 재투자하는 대규모 다국적 기업이기에   

그럴 수 있습니다.

 

용어 체크

  • 배당금  ( dividend ) : 이윤의 일부로서 주주에게 나누어주는 것

  • 주당순이익 ( earnings per share ) :  순이익 / 발행주

  • 주가수익률 ( Price–earnings ratio ) : 주가 / 주당순이익

  • 주당순자산가치 ( BPS, Book-value Per Share ) :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

  • 순자산 =  자산 - 부채

  •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 ) :  순이익 / 자본 ,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자본:  자산 - 부채 ,  순자산과 같은 개념, 시가총액과는 다름

    ROE는 회사자본이 성장하는 비율을 나타내므로,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 베타 (Beta, 시장 민감도) : 값이 높을 수록 시장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등락폭이 높고, 낮으면 등락폭이 완만합니다.

  • 벤치마크 ( benchmark ) : 투자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 보통 시장을 전체적으로 반영하는 주가지수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한국은  KOSPI 지수를, 미국은 S & P 지수 등을 활용합니다.

 

원문 출처:

https://www.benzinga.com/money/fundamental-analysis/

 

A Guide to Fundamental Analysis: Definition, Examples & More • Benzinga

Learn all about fundamental analysis, including what it is, worked through examples, and the best research tools that utilize it.

www.benzinga.com